오피니언
[민경국의 말과 사상] (10) 숙의민주주의
소득분배, 기업규모, 기업입지, 금융배분, 고용환경 등 경제·사회문제를 모든 사람들이 함께 모여 깊이 생각하고 숙고하여 공개적인 토론을 거처 결정하고 결정결과를 집행하는 것이 '숙의민주주의(熟議民主主義, deliberative democracy)'다. 이는 신좌파를 이끌고 있는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개발된 콘셉트다. 이에 따르면 개인들의 행동들이 자생적으로 조정되는 시장과정 대신에, 토론하고 숙의하는 정치과정의 결정을 통해서 그들의 경제·사회적 삶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적 숙의 제도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다. 첫째로 그것은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참여하여 공개된 토론과정을 통해서 관점, 견해 ,이론 등 주관적 생각들을 자유롭게 서로 소통하기 위한 틀이다. 둘째로 그런 틀은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적용할 추상적인 행동규칙, 즉 강제, 허위, 조작, 위협, 협박, 사기, 기만 등과 같은 특정의 행동을 금지하는 행동규칙들로 구성된다. 그런 틀은 어떤 지배자도 없고 자유로운 담론이 지배하는 상태이다. 셋째로 담론과정은 사람들이 선호와 가치,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과 수단에 관한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소통행위는 이론과 선호의 가치를 가르치고 배우는 학